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일상사

트럼프, 벙커버스터를 이란에 쏟았다.

by 마음이 가는 대로 2025. 6. 23.
728x90

벙커버스터

 

미국이 자국 본토에서 이륙한 스텔스 폭격기를 타고, 지구 반대편 이란의 핵심 지하시설을 정확히 타격했습니다.
‘벙커버스터’. 들어는 봤지만 실전에서 쓰인 적 없던 무기가, 이제 현실이 되었습니다.

기술은 놀라웠고, 작전은 성공적이었습니다.

 

하지만 묻고 싶습니다.
“이것은 누구를 위한 기술이며, 누구를 위한 성공인가?”

전쟁의 기술, 외교의 실패 그리고 위협의 정치

이번 작전의 기술적 성공은 분명합니다.
B-2 스텔스 폭격기는 미주리에서 출발해 공중급유를 받으며 18시간을 날아갔고,
포르도 핵 시설에 무려 12발의 벙커버스터를 투하했습니다.
이 무기는 지하 수십 미터를 파고들어 핵심 목표를 파괴할 수 있는, 세계에서 유일한 ‘초정밀 초대형 폭탄’입니다.

 

여기에 더해, 다른 핵시설에는 토마호크 순항미사일이 쏟아졌습니다.
공식 발표는 “이란의 핵개발을 저지하고 평화를 위한 조치”였지만,
그 뒷면에는 전통적인 중동 구도의 재편,
그리고 중국·러시아를 향한 미국의 무언의 경고가 겹쳐져 있습니다.

 

하지만, 전쟁을 잘 수행한다고 해서, 그것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든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포르도의 지하를 뚫은 그 폭탄은, 인류가 만든 기술이 어디까지 ‘파괴’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그 폭격의 분화구는,

전쟁이 끝난 평화의 증거가 아닌, 앞으로 시작된 전쟁의 시작이 될 수도 있습니다. 

 

위협, 힘의 논리로는 약자의 마음을 얻을 수 없습니다. 

우리는 평화를 위해 더 나은 방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