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말초신경을 건드리는 소식들/투자

돈깡님의 타이밍, 주식 초보에게 필요한 단 하나의 원칙

by 마음이 가는 대로 2025. 7. 10.
728x90

주식 초보

매매는 기술이고, 매도는 예술이다

 

나는 종종 이런 말을 듣는다.
“주식은 어렵지 않아요. 덧셈, 뺄셈만 할 줄 알면 돼요.”
처음엔 그 말이 웃기게 들렸다. 도대체 그 단순한 산수가 수천만 원이 오르내리는 시장에서 무슨 도움이 된단 말인가?

그런데, 시간이 지나고 손실을 반복하고 나니 깨닫게 되었다.
진짜 무서운 건 무지보다 욕망이고,
진짜 필요한 건 복잡한 기술보다 아주 단순한 ‘장사의 기본’이었다.

주식은 장사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도파민의 덫
수익보다 손실에서 더 많은 도파민이 분비된다는 연구가 있다.
그 말은 곧, 우리는 돈을 잃을 때 더 큰 흥분을 느끼고, 그 짜릿함에 중독된다는 뜻이다.
“하루에 거래를 열 번 했어요. 너무 재밌더라고요.”
그날 저녁, 손실로 고개를 떨구는 건 또 나 자신이다.

이 장면은 도박과도 닮았다.
돈을 벌려고 했던 것이 아니라, 그 짜릿함을 소비한 것이다.
그리고 그 대가는 매번 비쌌다.

 

손익비, 장사의 기본
우리는 식당을 할 때도 원가를 생각한다.
국수를 팔면서 파 한 단 가격도 모르고, 재료값 계산도 없이 가격을 정한다면?
그건 장사가 아니라 자원봉사다.

주식도 마찬가지다.
내가 감당할 손실이 1%라면, 기대할 수익은 적어도 3%는 되어야 한다.
1:3, 이것이 주식에서의 장사 기본이다.
이 기준이 없다면, 나는 단지 시장의 손님이자, 남 좋은 일 시켜주는 사람일 뿐이다.

 

*포모(FOMO)의 함정
많은 초보자들이 “지금 안 사면 도망갈까 봐”라는 이유로
비싼 값에, 좋지 않은 자리에서 급하게 매수한다.
이런 매매는 결국, ‘남들이 판 자리를 비싸게 사는’ 일이 된다.

장사의 타이밍은 분명히 있다.
그 시점을 기다리지 못하고 미리 돗자리를 펴는 순간,
장사는커녕, 그냥 사람들 나눔잔치가 된다.

 

기술로서의 매수, 예술로서의 매도
매수는 기술이다.
배울 수 있고, 연습할 수 있다.
덧셈, 뺄셈만 알면 된다.
하지만 매도는 예술이다.
정답이 없고, 오랜 시간의 통찰과 감각이 필요하다.

그래서 매수 시점은 더욱 중요하다.
그 기술만 익혀도, 계좌는 천지차이다.

 

결론적으로 주식은 장사다.
장사는 이익을 보고, 타이밍을 잡고, 손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코스피든, 코스닥이든 손익비 1:3은 절대 법칙이다.
그 이상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그 장사는 하지 않아야 한다.

주식 시장에서 살아남는 사람들은,
늘 평균으로 돌아가는 시간의 습성을 이해하고,
지금이 파는 시점인지, 사는 시점인지를 냉정하게 판단한다.

 

오늘 당신은 장사를 시작할 것인가?
아니면 또 한 번, 포모에 휘둘릴 것인가?

 


*포모(FOMO)는 'Fear Of Missing Out'의 약자로, 유행이나 중요한 정보, 사회적 경험 등을 놓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나 두려움을 뜻합니다. 다시 말해, 다른 사람들은 다 하고 있는데 나만 못 하고 있다는 생각에 뒤처지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심리 상태를 말합니다. 

 
포모(FOMO)의 의미:
  • 핵심: '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
  • 구체적인 의미:
    • 사회적 흐름이나 유행에서 뒤처지는 것에 대한 불안감 
    • 다른 사람들이 누리는 경험이나 기회를 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 
    • 소외되는 것에 대한 불안감 
    • 특히, 소셜 미디어를 통해 타인의 삶을 접하면서 이러한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 마케팅 용어에서 유래: 원래는 한정 판매 등 소비를 부추기는 마케팅 용어였으나, 점차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용어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 반대 개념: '조모(JOMO: Joy of Missing Out)' - 놓치는 것을 즐기는 현상 
     
포모(FOMO)의 예시:
  • 친구들이 모임 사진을 올릴 때 나만 빠져있다는 생각에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 
  • 주식 시장에서 다른 사람들이 큰 수익을 얻는 것을 보며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 
  • 최신 유행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뒤처지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