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뭐하지/음악

페파톤스의 태풍의 눈을 듣고, 나의 태풍의 눈으로 걸어간 날

by 마음이 가는 대로 2025. 7. 7.
728x90

페파톤스의 태풍의 눈

 

어느 날, 숨죽여 페퍼톤스의 태풍의 눈을 들었다.
가슴 안에 오래되어 뭉그러진 어둔 무기력함이 그 노랫말에 부서진다.

 

“몸을 웅크리고 숙여도 고개를 들어라.”

첫 구절이 귀를 때릴 때,
그토록 외면해왔던 현실과 눈을 맞출 용기가 있음을 알았다.

 

이 세상은 낙오된 자들을 조롱하는 미쳐버린 풍경 같아도,
살아있는 자라면 소리쳐야 한다고,
운명을 향해 온몸을 던지라고,
그들은 노래했다.

 

나는 늘 무언가에 눌려 있었다.
어차피 도망칠 수도 물러설 수도 없다고 자조하며,
스스로를 작게 접어두곤 했다.

 

하지만 노래와 함께 쿠구궁 번개가 치는 소리처럼
내 마음에도 뭉그러져 있던 감정이 부서진다.

 

어차피 거친 비바람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이 인생이라면,

눈을 부릅뜨고, 날개를 펴 봐야할 것이 아니냐고.

 

“눈이 부시게 찬란한 한 줄기 빛이 있다고 했지.
난 기억해 그의 노래.”
이 대목에서 나는 울컥하며 눈물이 흘렀다.

 

살아있음의 슬픔과 기쁨이 한데 엉켜,
결국엔 눈물이 되어 내 뺨을 적셨다.

 

삶은 늘 거친 바람과 폭군 같은 현실의 연속이었다.
나는 수없이 움츠러들었고,
수없이 후회하고,
수없이 주저앉았다.

 

이제 여길 떠날 시간이 다가온다.
방 안 태풍의 눈 한가운데에서,
나는 더 이상 도망치지 않으리라 다짐했다.

 

저 멀리서 내가 불어오는

태풍의 방관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내 모든 걸 삼키는 소용돌이 속으로

기꺼이 내 몸과 마음을 던질 결단을 했다.


눈을 떠, 날개를 펴,
저 태풍의 눈으로,

 

마침내 찬란한 빛을 찾으러 간다.

그것이 비록 또 하나의 좌절이 될지라도,
오늘 이 순간, 나는 분명히 살아 있음이 내 노래가 된다. 

반응형

'뭐하지 >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퍼톤스를 처음 들은 날.  (0) 2025.07.05
트럼펫에서 전자음까지, 재즈의 시간의 선율  (2) 2025.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