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신경을 건드리는 소식들/정보
회의, 알고 들어가자!
마음이 가는 대로
2025. 6. 5. 16:56
728x90
회의 용어와 절차, 이것만 알면 걱정 없다
회의는 단순히 모여서 이야기하는 시간이 아닙니다. 체계적인 절차와 명확한 규칙 속에서 이뤄지는 '결정의 장'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회의에 필요한 핵심 용어와 실제 회의 절차를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회의 용어 이해하기
1. 회의의 기본 구조
- 회기: 회의가 시작되어 끝날 때까지의 전체 기간
- 개회: 회의 시작을 선언하는 시점
- 산회: 당일 회의 종료
- 폐회: 회기 종료
- 속개: 중단된 회의를 다시 시작
- 정회/휴회/유회: 회의를 일시 중단하는 다양한 방식
2. 의제와 안건
- 의제: 회의에서 논의될 주제 제목
- 안건: 실제로 논의하고자 하는 내용
- 의안: 안건 중 공식적으로 제출되어 수정 가능성을 가진 문서
회의 중 등장하는 주요 절차 용어
동의(同意) | 다른 의견이나 발언에 동의함을 밝힘 |
동의(動議) | 회의 안건을 제출함 |
변안동의 | 이미 통과된 안건을 번복해 다시 심의하자는 요청 |
수정동의 | 안건의 일부 내용을 수정하자는 제안 |
회의는 이렇게 진행돼요
- 개회
- 보고사항 발표
- 안건 상정
- 제안 설명
- 질의응답
- 토론
- 수정안 여부 판단 및 표결
- 본안 표결
- 남은 안건 확인
- 산회/폐회
이 과정은 실제로 아래와 같은 흐름도처럼 돌아갑니다.
💡 간단히 말하면: 발표 → 질문 → 토론 → 표결 → 종료!
회의가 열리기까지
- 정기회: 매년 정해진 시점에 개최
- 임시회: 필요 시 구성원의 요구로 소집
- 의사일정: 어떤 순서로 회의가 진행될지 미리 정한 문서
회의에서의 중요한 원칙
- 다수결 원칙: 다수의 찬성이 있는 안건만 가결
- 정족수 원칙: 최소한의 참석자 수를 채워야 회의 성립
- 일사부재의 원칙: 한 번 부결된 안건은 같은 회기 내 재심의 불가
- 회의 공개 원칙: 필요시 학부모 등 외부인도 회의 참관 가능
회의가 끝난 뒤
- 회의결과 이송
- 회의록 작성: 간사가 정리, 필요시 소위원회 별도 작성
반응형